이 시리즈는 저의 [3P바인더 코치 36기] 과정의 경험을 토대로
수강을 고려하시는 분들께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기획되었습니다.
#1. 내가 코치 과정을 시작한 이유
#2. 3P 코치 과정 소개
#3. 준비물 & 나의 바인더 소개
#4. 1박 2일 워크숍 (36기)
#5. 8시간 집중 교육 (36기)
#6. 1차 후속 모임 (2018.12.08.)
#7. 2차 후속 모임
#8. 3차 후속 모임
#9. 4차 후속 모임
#10. 본깨적 노트 1 - 성과를 지배하는 바인더의 힘 (강규형)
#11. 본깨적 노트 2 - 성과를 향한 도전 (피터 드러커)
#12. 본깨적 노트 3 - 세계 최고의 인재들은 왜 기본에 집중할까 (도쓰카 다카마사)
#13. 본깨적 노트 4 - 생각의 비밀 (김승호)
#14. TM (Time Management) 코칭
#15. 서브 바인더 만들기
#16. 성과레포트: 코치 과정 후 삶이 어떻게 변했나.
워크숍이 끝나고 일주일만에 후속 코칭 모임을 3P자기경영연구소에서 가졌습니다.
코치의 핵심이 이 코칭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요.
중요한 개념은 워크숍 때 모두 배우지만, 배운 것을 삶에 적용하고 그 결과를 나눈 다음 피드백을 받는 과정을 가집니다.
2개월 동안 지정 마스터님과 총 4번의 후속 모임을 갖게 됩니다.
저의 조는 워크숍 끝난지 일주일만에 다시 모였어요.
선배님들의 초상권을 위해 스티커로 가렸습니다... ^^;
마스터님께서 PPR (Project - Performance - R&D)의 순환구조에 대해 열심히 설명하시는 모습이예요.
이처럼 라이프 시스템을 어떻게 세울지 배우고, 각자의 바인더를 보고 나쁜 점은 개선하고 좋은 점은 벤치마킹하는 시간입니다.
'3P바인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3P 바인더 / 코치 36기] #8. 3차 후속 모임 (2018.12.29.) (0) | 2019.01.27 |
---|---|
[3P 바인더 / 코치 36기] #7. 2차 후속 모임 (2018.12.15.) (0) | 2019.01.26 |
[3P 바인더 / 코치 36기] #5. 집중 교육 (0) | 2019.01.24 |
[3P 바인더 / 코치 36기] #3. 준비물 & 나의 바인더 소개 (0) | 2019.01.08 |
[3P 바인더 / 코치 36기] #2. 3P와의 만남 & 3P 코치과정 소개 (2) | 2019.01.07 |